문양설명
수(壽)와 복(福)자가 전서(篆書)로 구성되어 있는데, 거북· 여의두· 전보· 서각· 서보· 태극· 방승(方勝)· 보병(寶甁)· 화병· 국화· 대나무· 불로초· 석류· 구름·별 등의 여러 길상문양이 壽福과 복합적으로 도안화되어 중복됨 없이 다양한 조형을 보여준다. 수, 복자 문양은 한자를 그대로 취한 문양으로 문자 뜻대로 오래 살면서 복을 누리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있다.
-
개별유물
수복자문(4204)
-
개별유물
수복자문(4203)
-
개별유물
수복자문(4202)
-
개별유물
수복자문(4201)
-
개별유물
수복자문(4200)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9)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8)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7)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6)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5)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4)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3)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2)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1)
-
개별유물
수복자문(4190)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9)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8)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7)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6)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5)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4)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3)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2)
-
개별유물
수복자문(4181)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