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1907년에 청계정사가 있던 터에 세워진 것으로, 탁영(濯纓) 김일손의 위패를 모시고 춘추로 향사를 지낸다. 서원의 건물은 중앙에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기와집 형태의 강당이 있으며, 그 뒤쪽으로 높은 지대 위에 묘우인 청계사가 위치한다. 강당 앞으로 학생들이 거처하던 동재인 구경재(久敬齋)와 서재인 역가재(亦可齋)가 있다. 홍살문은 홍전문(紅箭門), 홍문(紅門)이라고도 한다. 둥근기둥 두 개를 세우고 위에는 지붕이 없는 형태이다.
화살 모양의 나무를 나란히 박아 놓고, 가운데에는 태극 문양이 있다. 태극문은 홍, 청, 황색으로 단청을 칠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