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가장자리에 글자를 둘렀다. 글자 안쪽에는 덩굴을 두르고, 한 송이 모란꽃을 표현하였다. 다음으로 喜(희)자문을 원형으로 표현하였다. 다른 것은 꽃과 덩굴문양을 교차하여 배치하였다. 문양은 한 줄의 세로로 표현하였다.
-
개별유물
모란문(30964)
-
개별유물
모란문.잎사귀문(30963)
-
개별유물
대나무문(30962)
-
개별유물
소나무문(30961)
-
개별유물
잎사귀문(30960)
-
개별유물
꽃문,잎사귀문(30959)
-
개별유물
덩굴문(30958)
-
개별유물
덩굴문(30957)
-
개별유물
석류문(30956)
-
개별유물
꽃문(30955)
-
개별유물
석류문(30954)
-
개별유물
꽃문,덩굴문(30953)
-
개별유물
꽃문,잎사귀문(30952)
-
개별유물
꽃문,동그라미문(30951)
-
개별유물
꽃문,동그라미문(30950)
-
개별유물
꽃문(30949)
-
개별유물
석류문(30948)
-
개별유물
수자문(30947)
-
개별유물
꽃문,덩굴문(30946)
-
개별유물
꽃문(30945)
-
개별유물
꽃문(30944)
-
개별유물
수자문(30943)
-
개별유물
문자문(30942)
-
개별유물
문자문(30941)
-
개별유물
희자문(30940)
-
개별유물
희자문(30939)
-
개별유물
문자문(30938)
-
개별유물
문자문(30937)
-
개별유물
문자문(30936)
-
개별유물
문자문(30935)
-
개별유물
문자문(30934)
-
개별유물
문자문(30933)
-
개별유물
문자문(30932)
-
개별유물
문자문(30931)
-
개별유물
문자문(30930)
-
개별유물
문자문(30929)
-
개별유물
문자문(30928)
-
개별유물
문자문(30927)
-
개별유물
꽃문(30926)
-
개별유물
꽃문,잎사귀문(30925)
-
개별유물
모란문.잎사귀문(30924)
-
개별유물
덩굴문(30923)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