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청자상감유개통형잔(19675) 청자상감유개통형잔(19675)
청자상감유개통형잔(19675)
문양설명
연꽃은 옛날부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는데 그 이유는 연꽃의 강한 생명력 때문이다. 한편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운 연못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하고 있다.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의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超脫), 보리(菩提), 정화(淨化)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또 연꽃은 환생을 상징한다. 우리 판소리 심청가에서도 심청은 인당수에 빠졌다가 큰 연꽃 속에서 환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덩굴은 한자 표기로 당초(唐草)라 표기하는데, 당초는 ‘당(唐)나라 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킨다. 당초라고 하는 용어는 원래 겨우살이덩굴(인동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인동초(忍冬草)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지의 산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우살이 덩굴식물이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와 대(代)를 이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도자기에는 원형의 국화와 S자형 덩굴문을 연결한 단순하고 단조로운 국덩굴문이라든가 포도넝쿨과 모란·연꽃 등으로 구성한 매우 짜임새 있는 덩굴문이 나타난다. 또한 철재 등으로 그려진 회화풍의 덩굴문양과 포도넝쿨을 덩굴무늬화한 문양이 보인다. 동심원문은 순환·윤회와 다산 그리고 장수를 상징한다. 예로부터 둥근 것은 하늘을 상징하며, 원은 하늘의 상징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모든 것에서 원 모양을 찾아냈다. 하늘·태양·달뿐 아니라 산·고개·강·길·알 등 자연의 원과 우물·구슬·그릇·거울 등 인위적인 원을 형상화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동심원은 나선형의 외향성과 원심력을 동시에 갖는다. 완벽한 원이 한정된 구심력을 갖는 것과 달이 동심원은 발전과 전진을 상징한다. 청자에서는 주요 문양을 돋보이게 하는 테두리 문양대로 사용된다. 국화는 동진(東晉)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이 자신의 지조를 굽히지 않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면서 살았다는 일화로 인해 군자의 맑은 아취와 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은군자(隱君子: 속세를 떠나 숨어 사는 군자), 은일화(隱逸花: 속세를 떠나 숨어있는 꽃)라는 별명은 여기에서 연유한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영초(齡草: 나이든 식물), 옹초(翁草: 나이든 식물), 천대견초(千代見草: 천대에 걸쳐서 볼 수 있는 식물)라고도 하여 장수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높이가 높고 뚜껑이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잔이다. 청자는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사이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고려 청자에 본격적으로 문양이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11세기경에 이르러서이다. 문양의 종류는 중국에서 전래된 국화덩굴문과 연판문 등을 고려적인 모습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음양각기법이 이용되었다. 12세기에 접어들면서 비색(翡色) 청자의 완성과 함께 다양한 문양의 다채롭게 청자를 장식한다. 또 고려 청자의 장식 기법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것이 상감기법인데, 이 기법은 조각칼로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를 음각한 후 그 홈에 붉은 흙이나 흰 흙을 감입한 것으로 문양의 표현이 사실적인 것도 있지만 도안적인 성격이 강하다. 고려 중기 이후 청자의 중요한 장르로 등장한 상감청자에는 예전에 볼 수 없는 새로운 문양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문양으로는 연덩굴문, 국덩굴문, 국화문이나 모란문, 역상감의 보상덩굴문, 포도동자문 등이 많이 보인다. 특히 국화문은 음양각기법의 순청자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던 국화문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고려 청자의 대표적인 문양이 구름·학문이 중심 문양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이 잔의 외측면 상단에 번개무늬를 백상감하였고 저부에는 연판문을 흑백상감하였다. 가운데 부분에는 덩굴문을 역상감하여 채웠는데, 덩굴문 사이에 3개의 동심원문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안에 국화문을 넣어 흑백상감하였다. 뚜껑도 중앙에 연꽃 봉오리 모양의 꼭지를 중심으로 3개의 동심원문을 배치하고 국화를 흑백상감으로 장식했다. 뚜껑 테두리에는 번개무늬를 백상감하여 돌렸고 나머지 부분은 덩굴문으로 채웠다. 뚜껑과 잔이 일관성 있는 문양구성과 배치를 보여주어 조화를 이룬다. 번개문은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문은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연판문은 연꽃의 꽃잎을 펼쳐 놓은 모양을 도안화시켜 연속무늬를 구성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는 주로 도자기의 어깨부분이나 굽 혹은 저부의 둘레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연꽃이 지닌 특별한 상징적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즉 도자기 등 그릇의 둘레에 연판문양이 들어감으로써 그 물건의 비범성과 청정함을 나타내어 일반의 비속한 존재와 구별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판문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삼국 시대에 불교미술이 시작되고부터라고 할 수 있으며, 문양화된 것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다. 범종을 비롯한 각종 불구류(佛具類)와 사리장엄구, 향로, 동경 등에서 다양한 연판의 양식이 나타나게 되었고, 그 형식은 고려시대에 와서 단조로운 선으로 표현되어 더욱 간결해진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