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연화문수막새와당(195) 크게보기 연화문수막새와당(195) 크게보기
연화문수막새와당(195)
문양설명
중앙의 돋은 자방(子房)을 중심으로 복판양식의 화판 6개가 둘러져 있다. 자방(子房)과 화판 사이에는 단선문이 돋을선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려져 있고, 6개의 화판은 타원형 형태로 가운데 돋을선이 새겨져 있다. 화판과 화판 사이에는 양각의 직선이 2개씩 새겨져 있고 화판의 양쪽으로는 구슬무늬가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다. 막새면 주위에는 구상권대(溝狀圈帶)를 두고, 구상권대(溝狀圈帶)와 주연대(主蓮臺) 사이에 연주문(聯珠文)을 장식하였다. 연꽃은 씨앗의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생명 창조, 번영을 상징한다. 또한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해서 불교에서는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