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흰떡이나 쑥떡에 모양을 내기 위해 사용한 도구이다. 긴 직사각형 떡살면에는 아(亞)자 테두리 선을 둘렀다. 내부에는 7개의 무늬판이 있다. 맨 위에는 국화가, 두 번째에는 나비가 도안화되어 양각되어 있다. 그 아래로는 여러 개의 기하문을 사용해서 연속무늬를 표현하였다. 아(亞)자는 끊어 지지 않고 연속되기 때문에 무한 장구와 결실을 의미한다. 직선이나 곡선의 연속된 형태 역시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새겨진 것이다. 국화는 장수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중국의 시인 도연명이 자신의 지조를 굽히지 않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면서 살았다는 일화로 인해 군자의 맑은 아치와 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의 징조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옹초(翁草, 나이 든 식물), 천대견초(千代見草, 천대에 걸쳐서 볼 수 있는 식물)라고도 하여 장수의 상징이다. 나비는 인생의 즐거움과 자유연애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나비는 장자의 호접몽 설화에서부터 인생의 즐거움과 행복을 상징하는 동물이 되었다. 만물이 회생하는 봄날에 자유롭게 날아다니면서 짝을 찾아가는 나비는 자유연애와 미호(美好), 행복의 상징이 되기도 하였다. 생활도구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무늬이기도 하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