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표면을 4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각각 모란, 까치와 소나무, 연꽃, 나비 등을 오려붙여 장식하였다. 모란은 번영과 아름다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사랑받았으며, 또한 모란꽃은 부귀와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꽃이기도 하다. 나비는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까치는 예로부터 좋은 소식을 전해 준다 하여 희작으로 사랑을 받았다. 소나무는 유교적 절의와 지조, 탈속과 풍류, 장수의 상징이다. 松(소나무 송)이라고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 頌(칭송하다 송)의 뜻을 나타낸다. 또한, 신년(新年)을 뜻하기도 한다. 연꽃은 연화, 또는 하화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부용, 수화, 부거라 하기도 하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다.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오니(汚泥)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하여 불교에서는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겨졌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