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경첩은 나비와 거북으로 장식하였으며, 상부에는 卍자문을 투각하였다. 전면 앞바탕에는 당초문을 음각하였으며, 박쥐모양의 귀장식을 하였다. 거북은 개충(介蟲)의 우두머리로 여겨졌던 동물로, 수명이 길어 영년불사(永年不死)의 상징으로 인식하였다. 옛사람들은 거북의 등이 융기한 것은 하늘의 법을 아래가 평평하고 네모난 것은 땅의 법칙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운문(雲紋)은 위엄(威嚴), 신비성, 속세를 벗어난 풍류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나비는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박쥐의 한자표기인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박쥐는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로 인해서 박쥐무늬는 여러 물건들에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많이 새겨지게 되었다. 만자문은 길상과 만복이 집결되었다는 의미로 쓰이며, 卍자의 사방 끝이 종횡으로 늘어나 계속 이어짐으로 무한 장구하다는 뜻을 가진다. 당초문은 예로부터 '덩굴풀 무늬'라 하여 生命不死(생명불사), 즉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