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흰떡이나 쑥떡에 모양을 내기 위해 나무로 만들어진 도구이다. 떡살면에는 여러 가지 꽃과 문자, 기하무늬가 복합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5단으로 나눠져 있는데, 4줄의 가로줄로 구분 지었다. 각 부분마다 중간에는 원이 있고, 그 안에 수(壽)자나 영(寧)자가 새겨져 있다. 2번째 단에는 만(卍)자가 주변에 나타나고 가운데에는 꽃이나 문살무늬가 새겨져 있다. 수(壽)자는 장수한다는 뜻이고, 영(寧)자는 편안한 상태를 나타낸다. 오랫동안 장수하며, 건강하고 편안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새겨진 것이다. 만자는 그 사방 끝이 종횡으로 늘어나 펼쳐지고 계속 이어지면서 끊어지지 않는 각종 문양을 형성하는데 이는 무한 장구하다는 뜻이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