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갯모(114154)
문양설명
이때 새는 육신과 영혼을 하늘로 인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상징한다. 농경생활을 하던 청동기시대에는 새를 주술적 동물로 여겼으며 천상의 영혼과 육신의 세계를 내왕하며 연락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우리 조상들은 여러 종류의 새들을 문양에 사용하였는데 장수를 상징하는 학, 애련을 상징하는 앵무, 때와 시를 알리는 닭, 덕망을 상징하는 공작, 청백을 사징하는 백로, 부부애를 상징하는 원앙, 백년해로를 상징하는 기러기, 기쁜 소식을 상징하는 까치 등이 있다. 특히 매화가지에 까치가 앉은 그림은 이른 봄에 봄소식과 기쁜 소식을 알리는 것이라 하여 ‘희보춘선(喜報春先)’으로 해석한다.
가장자리 안쪽으로 두 줄의 선으로 구획을 하였다. 선 안 쪽에 국화꽃을 나타내었다. 국화는 활짝 핀 모습으로 여러 개의 꽃잎과 줄기, 잎을 함께 표현하였다. 나비는 국화꽃 주변을 날아다니는 모습으로 3마리가 보인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