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중앙부에 만개한 연꽃과 불노장생을 상징하는 불노초, 한쌍의 나비와 봉황을 수놓았고, 좌우측에 각각 매화를 장식하였다. 연꽃은 연화, 또는 하화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부용, 수화, 부거라 하기도 하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다.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오니(汚泥)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하여 불교에서는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겨졌다. 매화는 이른 봄에 홀로 피어 봄의 소식을 전하고 맑은 향기와 우아한 운치가 있어서 순결과 절개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다. 겨울이 되어 잎이 지고 나면 죽은 것 같으나 다음해 다시 꽃이 피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장수의 상징물로도 여겼다. 또한 매화의 매(梅)와 누이의 매(妹)는 음이 동일해서 미혼여자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미혼 여성과 관련해서 건강한 상징을 기원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나비는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봉황은 용이 학과 연애하여 낳았다는 상상속의 새로, 고상하고 품위 있는 모습을 지니고 있어 왕비에 비유되기도 하며 태평성대를 예고하는 상서로운 새로 여겨졌으며, 상서로움, 사령(四靈), 부부애, 신조(神鳥), 이상적인 서조(瑞鳥)의 의미가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