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형태별문양

문양설명
죽은 이의 시신을 옮기는 가마인 상여를 장식하는 상여장식 중 하나이다. 예로부터 상여는 이승과 저승을 이어주는 세계관적 구조물로 인식되어 규모가 크고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상여의 앞면과 뒷면에는 귀면판(鬼面板)이나 용수판(龍首板)을 두고, 네 모서리에는 봉황(鳳凰)장식을, 상여 몸체에는 용과 많은 나무꼭두로 장식하여 죽은 이가 사후세계(死後世界)에서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기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다. 이 유물은 상여의 앞면과 뒷면을 장식하던 용수판이다. 조선 전기까지는 귀면 즉 도깨비의 얼굴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도깨비 대신 용이 많이 조각되기 시작하면서 그 이름도 귀면판에서 용수판으로 아예 바뀌게 되었다. 귀면으로 가득차있다. 귀면문은 원래 짐승얼굴을 무섭게 의장화 한 것으로 부릅뜬 눈에 들창코이며 벌어진 입에는 혀가 나와 있고, 송곳니가 날카롭게 뻗쳐있으며 이마에는 굴곡된 뿔이 돋아있는 형상을 말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