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원형의 베갯모 한 쌍이다. 베갯모의 중앙에 원형의 구획을 만들고, 그 안에 연꽃과 한쌍 의 학과 박쥐를 수놓았다. 주변은 오복을 상징하는 5마리의 박쥐를 둘러 장식하였다. 박쥐의 한자표기인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박쥐는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로 인해서 박쥐무늬는 여러 물건들에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많이 새겨지게 되었다. 연꽃은 연화, 또는 하화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부용, 수화, 부거라 하기도 하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다.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오니(汚泥)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하여 불교에서는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겨졌다. 학은 실존하는 새임에도 신비스럽고 영적인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며, 높은 기상을 상징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