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디자인 활용 시 특성없이 밋밋한 부분을 감각적인 선으로 추출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원시문양을 제작하였다
회암사지 출토 영락장식은 청동바탕에 호박 보석을 감입하여 연화문, 여의두문 등을 표현했다. 여의는 사찰에서 독경·설법·법요·논의를 할 때 위용을 갖추기 위해 강사가 지니는 도구를 말하는데, 불교 전래 시 인도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모든 것이 뜻과 같이 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영지, 상서로운 구름과 같은 상징적인 사물에서 그 형태를 따와 길상과 축송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따라서 불교와 관련된 조형미술에 여의두문이 많이 나타나게 되면서 시대의 흐름과 함께 건축 장식을 비롯하여 가구와 잡기등에도 장식 되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