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분청사기조화모란문병(7271) 크게보기 분청사기조화모란문병(7271) 크게보기
분청사기조화모란문병(7271)
문양설명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의 약칭으로, 분청자라고도 하며 청자와 같은 회색의 바탕색 위에 하얀 흙을 바른 다음 회청색의 유약을 입힌 도자기를 말한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그릇면의 분장과 그 위에 자유분방한 선으로 이루어진 무늬이다. 무늬의 소재는 자연에서 얻은 동·식물과 추상적인 것 등 매우 다양하며, 무늬 구성이나 모양에서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연스러움과 서민들의 익살이 담겨 있다. 이것은 분청사기 병으로 몸체에는 모란무늬를 간략한 선으로 표현하여 장식하였다. 어깨에서 2줄 선을 아래위로 새기고 그 사이에 연판문을 장식하였다. 모란은 화려한 자태로 인하여 꽃 중의 왕으로 일컬어지며, 화목·부귀영화·번영을 상징한다. 고려시대 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된 모란무늬가 쓰이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비롯하여 청화백자·진사백자·철화백자 등에서 민화풍의 회화적인 필치로 그린 모란꽃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판문은 연꽃의 꽃잎을 펼쳐 놓은 모양을 도안화시켜 연속무늬를 구성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는 주로 도자기의 어깨부분이나 굽 혹은 저부의 둘레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연꽃이 지닌 특별한 상징적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즉 도자기 등 그릇의 둘레에 연판문양이 들어감으로써 그 물건의 비범성과 청정함을 나타내어 일반의 비속한 존재와 구별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판문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삼국 시대에 불교미술이 시작되고부터라고 할 수 있으며, 문양화된 것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다. 범종을 비롯한 각종 불구류(佛具類)와 사리장엄구, 향로, 동경 등에서 다양한 연판의 양식이 나타나게 되었고, 그 형식은 고려시대에 와서 단조로운 선으로 표현되어 더욱 간결해진다. 연꽃은 옛날부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는데 그 이유는 연꽃의 강한 생명력 때문이다. 한편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운 연못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하고 있다.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의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超脫), 보리(菩提), 정화(淨化)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또 연꽃은 환생을 상징한다. 우리 판소리 심청가에서도 심청은 인당수에 빠졌다가 큰 연꽃 속에서 환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