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청화백자운룡문매호(564) 크게보기 청화백자운룡문매호(564) 크게보기
청화백자운룡문매호(564)
문양설명
몸체 전면에 구름과 여의주를 집어 삼키려는 용의 모습을 생동감있게 청화로 그렸으며, 구연부와 동체부(胴體部) 경계부분인 어깨에 여의두문을 둘렀다. 입부부에는 청화로 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간략화한 구름문을 시문하였다. 일반적으로 용은 만물 조화의 능력을 갖춘 영물, 권위의 상징 그리고 벽사와 수호의 능력을 갖춘 영험한 동물이다. 용은 항상 여의주와 함께 표현되며. 용이 구름과 같이 나타나는 것은 용의 신비스럽고 영험한 능력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여의두문은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을 나타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