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수저집의 앞면에 국화와 봉황, 불노초, 닭, 나비, 연꽃 등을 수놓았다. 수저집의 입술부분은 모란을 장식하였다. 국화는 찬 서리를 맞고서도 그 우아한 형태를 잃지 않는다고 하여 선비의 절개와 굳은 기상을 표현하는 사군자였다. 또한 국화는 길상의 징조나 상서의 상징, 고상함과 품위의 의미로도 받아들여졌다. 국화는 영초(齡草)나 옹초(翁草)라고 불렸는데, 이는 장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모란은 번영과 아름다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사랑받았으며, 또한 모란꽃은 부귀와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꽃이기도 하다. 닭은 머리에 관을 쓰고 있어 문(文), 발에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니 무(武), 적을 맞아 물러서지 않고 죽을 때까지 싸우니 용(勇), 음식을 보면 혼자 먹지 아니하고 함께 먹으니 인(仁), 밤을 지키되 그 때를 잃지 않으니 신(信)이라고 해서 오덕(五德)을 갖춘 덕금(德禽)으로 사랑받았으며, 희망찬 출발이나 상서로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봉황은 용이 학과 연애하여 낳았다는 상상속의 새로, 고상하고 품위 있는 모습을 지니고 있어 왕비에 비유되기도 하며 태평성대를 예고하는 상서로운 새로 여겨졌으며, 상서로움, 사령(四靈), 부부애, 신조(神鳥), 이상적인 서조(瑞鳥)의 의미가 있다. 나비는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