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빗방울문활용지갑(986) 크게보기
빗방울문 활용 지갑
활용문양
빗방울문
문양분류
자연산수문/빗방울문
국적/시대
한국/고려
활용 문양 정보
지갑의 테두리에 연꽃문 디자인을 표현한 모습이다. 지갑은 돈을 보관하는 실용적인 물건으로 돈은 연꽃이 의미하는 성공이나 번영이라는 단어와 상징적인 의미가 통한다. 연꽃문이 표현된 지갑을 사용하는 이가 돈을 벌고 성공하기를 바라는 기원을 담았으며 문양의 배치가 적절하고 자연스럽게 보인다. 음각으로 연꽃을 표현해서 편안한 촉감을 살렸으며 전통적인 아름다움이 자연스럽게 돋보이게 만들었다. 마치 눈, 비가 내리는 형상에 붙여진 명칭이다. 선사시대 토기에서 비롯되는 원시문양의 일종으로 우점문이 시문된 토기는 서기전 300년대에 우랄,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빗방울문은 고려 상감청자에서 나타나며, 분청사기 인화문 기법으로 발전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