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난초문활용액자(777) 크게보기
난초문 활용 액자
활용문양
난초문
문양분류
식물문/난초문
국적/시대
한국/대한제국
활용 문양 정보
어두운 색 액자에 난초문이 표현되어 세련된 분위기를 풍기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되었다. 자손번창의 길상적인 의미를 지닌 난초문은 좋은 기운이 집안에 머물도록 하는 기원의 상징성을 담았다. 은은한 색으로 표현된 문양으로 고결한 분위기를 연출해주며 난초문의 상징성을 돋보이게 해 준다. 난초는 화경(花經) 에서 ‘난초의 다른 한 종류로 그 잎이 난에 비해 조금 넓고 부드러우며 꽃이 자백색인 것을 손(蓀)이라 한다’고 하였다. 손(蓀)과 손(孫)의 발음이 같아 자손창성의 의미를 갖고 있다. 정신적인 완성이나 순결을 상징하며 사군자에 속해 군자의 기상에 비유하기도 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