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활용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와 디자인에 활용된 문양 정보를 볼 수 있는 코너입니다.
모란문 활용 책상

활용 문양
- 활용 문양
- 모란문
- 문양 분류
- 식물문/모란문
- 국적/시대
-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가로로 길쭉한 책상은 일을 할 때 서류를 펼치기도 편하고 사용하기에도 좋다. 사무공간에 배치된 책상의 정면부분에 모란꽃을 반복해서 그려 넣었다. 모란은 활짝 핀 형태로 다양한 크기로 배치되었다. 모란은 번영과 창성을 의미하는 문양으로 이 책상을 사용하는 모든 이들이 원하는 일들을 모두 이뤄서 성장해 나가기를 바라는 뜻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중국이 원산지인 모란은 낙엽관목으로 키가 2m가량 되며, 꽃은 지름이 15㎝ 이상으로 매우 큰 편이다. 꽃잎이 중첩된 모양과 잎 가장자리의 갈라진 형태가 매우 화려하며 꽃 중의 왕이라 불렸다. 또한 풍성한 꽃잎은 부귀를 상징하여 부귀화(부귀화)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당나라 측천무후 때 장안에는 모란이 크게 번성하였다고 하며 그 이후 모란꽃은 번영과 창성, 미호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다. 모란은 회화, 자수, 공예품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표현되었는데 장미꽃과 함께 배치하여 부귀장춘(富貴長春), 수석이나 복숭아와 더불어 장명부귀(長命富貴)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고려시대 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된 모란이 쓰이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비롯하여 청화백자 등에 표현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