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

새문 활용 학사모
- 활용문양
- 새문
- 문양분류
- 동물문/새문
- 국적/시대
- 한국/고려
활용 문양 정보
평안, 출세 등을 의미하는 새문을 학사모에 새겨 빛나는 미래를 꿈꾸고 꿈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표현하였다. 푸른 학사모와 푸른 새가 잘 어우러져 더욱 희망적인 미래로 비상하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기존의 학사모는 밋밋하여 별 특색이 없어 보이지만 새를 활용하면서 세련된 감각을 선보여 차별화된 인상을 준다.
새는 영적인 동물로 인식되어 재생, 영예 등을 상징한다. 화조화에서 새는 단순한 새이기 이전에 자연의 일부를 상징한다. 길상화 및 공예품에서는 평안, 출세, 장수 등의 현실적 염원을 새의 명칭이나 속성에 빙자하여 조형물에 표현하였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