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

모란문 활용 쓰레기통
- 활용문양
- 모란문
- 문양분류
- 식물문/모란문
- 국적/시대
-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쓰레기통의 겉면에 활짝 핀 모란문양을 넣어 장식했다. 예부터 꽃잎이 풍성하고 화려하여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모란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과감하게 표현하여 특징을 잘 살려주었다. 불쾌한 냄새와 외관 때문에 피하고 싶었던 쓰레기통에 꽃문양을 넣어 줌으로써 보편적인 쓰레기통의 이미지에서 벗어 나게 해준다. 또한 꽃을 보며 자연에 대한 경외심이 생겨 자연을 더욱 소중하게 생각하게 될 것이다.
중국이 원산지인 모란은 낙엽관목으로 키가 2m가량 되며, 꽃은 지름이 15㎝ 이상으로 매우 큰 편이다. 꽃잎이 중첩된 모양과 잎 가장자리의 갈라진 형태가 매우 화려하며 꽃 중의 왕이라 불렸다. 또한 풍성한 꽃잎은 부귀를 상징하여 부귀화(부귀화)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당나라 측천무후 때 장안에는 모란이 크게 번성하였다고 하며 그 이후 모란꽃은 번영과 창성, 미호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다. 모란은 회화, 자수, 공예품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표현되었는데 장미꽃과 함께 배치하여 부귀장춘(富貴長春), 수석이나 복숭아와 더불어 장명부귀(長命富貴)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고려시대 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된 모란이 쓰이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비롯하여 청화백자 등에 표현하기도 하였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