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반닫이 무쇠장석활용벽(1429) 크게보기
반닫이 무쇠장석 활용 벽
활용문양
반닫이 무쇠장석
문양분류
원시문양
국적/시대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산뜻한 민트색 벽지에 단순하고 간결하게 표현된 꽃문양을 넣어 여성스럽고 경쾌한 실내 분위기를 창조했다. 최소한의 선을 사용한 심플한 형태를 지닌 문양이지만 꽃잎이 가지는 부드러운 곡선을 강조하여 밝고 화사한 인상을 주며 과도한 장식을 가하지 않아 눈에 피로를 덜어준다. 따뜻한 봄기운이 느껴지는 꽃문양 벽지를 사용함으로써 일 년 내내 봄 내음과 파릇한 기운을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나무가 뒤틀리는 것을 감아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감잡이이다. 금속판에 투각으로 꽃무늬를 장식하였다. 한 송이의 꽃 위에는 여의두문이, 아래에는 두 개의 작은 동그라미문이 보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