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창경궁 통명전 연지 난간활용보안카메라(126) 크게보기
창경궁 통명전 연지 난간 활용 보안카메라
활용문양
창경궁 통명전 연지 난간
문양분류
원시문양
국적/시대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보안카메라의 측면에 적용하였다. 보안카메라는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기 때문에 비나 눈을 견디는 내구성이 뛰어나야 한다. 그러므로 덩굴의 특성과 보안카메라의 내구성은 서로의 상징적인 의미가 통하고 표현된 문양이 자연스럽게 어울려서 돋보인다. 통명전 연지 난간의 하엽대로 문양대를 구획하고 덩굴과 구슬이음문을 조각하였다. 덩굴은 위쪽으로 뻗어 나가는 모습이며 구슬이음문의 양쪽에 나타내었다. 가운데에 위치한 문양대 내부에는 구슬이음문이 보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