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베갯모판활용인테리어 소품(1715) 크게보기
베갯모판 활용 인테리어 소품
활용문양
베갯모판
문양분류
원시문양
국적/시대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새 모양의 인테리어 소품이다. 박쥐문으로 새의 테두리를 장식하고 새의 중앙에 복자를 새겼다. 복(福)자문은 길상문자 중 하나로 복을 상징하는데 장식문으로 활용이 돋보인다. 나무로 만든 인테리어 소품에 활용되어 장식효과를 높여서 돋보이게 만들었다. 또한 소품을 보는 사람마다 복을 받고 나무의 편안함과 함께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베갯모 문양은 가장자리의 대부분이 '亞(아)' 자로 둘러져 있다. 가운데 글자문양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