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연덩굴문활용요가매트(2232) 크게보기
연덩굴문 활용 요가매트
활용문양
연덩굴문
문양분류
식물문/연덩굴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검정색 요가매트에 연덩굴문을 새겼다. 자연 속 건강함을 뜻하는 덩굴을 요가매트에 표현하여 운동을 통해서 몸이 건강해진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강인함과 재생의 의미를 지닌 연덩굴과 심신을 단련하는 운동의 만남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도 하는데, 규칙적으로 배치된 연덩굴의 모습이 정적인 운동인 요가와 적절하게 어울려 보인다. 연꽃과 덩굴을 함께 표현한 무늬이다. 덩굴문은 고대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그리스에서 완성되었으며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서아시아, 페르시아 등의 제국과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를 상징하게 되었다. 토기나 도자기 등에 장식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