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

모란덩굴문 활용 냉장고
- 활용문양
- 모란덩굴문
- 문양분류
- 식물문/모란덩굴문
- 국적/시대
-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냉장고는 음식물과 식재료를 보관하는 가전제품으로 주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양문형 냉장고의 표면에 크고 작은 형태로 모란꽃을 반복해서 새겨 넣었다. 모란은 덩굴과 함께 어울려서 풍성한 모습이며 부귀를 상징하는 꽃이므로 이 냉장고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경제적으로도 풍요롭기를 바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모란과 덩굴을 함께 표현한 무늬이다. 모란이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전래된 시기는 삼국사기 선덕여왕조(善德女王條) 모란화도(牧丹畵圖)와 씨앗이 진평왕(579~632)때에 당에서 왔다??는 기록에 따라 신라시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란은 꽃이 탐스럽고 화려하기 때문에 화왕(花王)이라고 하며, 부귀를 상징하는 꽃이라 하여 부귀화(富貴花)로 불렸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