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문양판활용명찰(1735) 크게보기
문양판 활용 명찰
활용문양
문양판
문양분류
원시문양
국적/시대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수(壽)자는 길상문자 중의 하나로 복을 상징한다. 명찰의 겉장에 수(壽)자문을 적용해서 공명찰을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이 복을 받고 행운이 깃들기를 바라는 기원을 나타냈다. 원래의 명찰은 단색으로 특색이 없었으나 수(壽)자문의 활용으로 정성과 함께 단정한 아름다움이 표현되었다. 방형의 목제 문양판으로 중심부에는 원형으로 수(壽)자문을 새기고, 아래 위 양 옆에는 다섯 개의 구슬을 같은 형식으로 배치하고, 모서리 부분에는 같은 모양의 덩굴문을 시문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