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

꽃·새문 활용 인테리어 소품
- 활용문양
- 꽃·새문
- 문양분류
- 복합문/꽃·새문
- 국적/시대
- 한국-시대미상
활용 문양 정보
질그릇의 질감을 살려낸 화병의 겉면에 패턴화된 꽃문을 배치해 독특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꽃문양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어 있다. 병에 장식하여 은은하게 전통미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고 아름다움를 상징하는 의미를 담았다. 꽃으로 장식함으로써 단조로운 인상을 피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음각으로 강조된 꽃문양에서 장식적인 효과가 잘 드러난다.
꽃·새문(花鳥文)은 꽃나무에 새가 앉아있거나 혹은 그 주위를 나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자연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정적인 꽃과 동적인 새를 조화롭게 표현하는 것으로 자연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음양의 조화로운 모습을 문양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