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포도문활용물조리개(1124) 크게보기
포도문 활용 물조리개
활용문양
포도문
문양분류
식물문/포도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물뿌리개에 사실적으로 묘사된 포도문을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살려주었다. 많은 열매가 맺기를 바라며 자손의 번영과 풍요를 상징하는 포도문을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물뿌리개에 표현하여 문양의 상징성을 부각되도록 하였다. 포도문은 대개 덩굴을 달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중국 당나라 때 인도의 금공미술에서 영향을 받아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특히 견직물에 나타나는 포도금문에는 포도덩굴 사이에 천신(天神)이 보인다. 포도와 같은 덩굴식물의 경우는 덩굴이 끊임없이 뻗어나가는 것처럼 자손이 끊이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가 강하다. 포도는 한 가지에 많은 열매를 맺는데서 풍요를 상징한다. 고려청자의 술병과 주전자에 동자들이 포도송이가 달린 덩굴을 잡아당기며 노는 모습이 상감된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