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

번개문 활용 벽지
- 활용문양
- 번개문
- 문양분류
- 기하문/번개문
- 국적/시대
- 한국/조선
활용 문양 정보
편리함과 깨끗함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은 꽤나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대인의 획일화되고 경직된 사고는 똑같은 내부구조를 가진 아파트라는 주거환경의 탓도 있지 않을까. 사라져 가는 전통가옥의 매력 중 하나인 옛 한옥의 문살을 벽지에 재현함으로써 전통의 분위기와 한옥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창 너머로 들어오는 아침 햇살의 따스함과 길게 늘어지던 문살의 그림자를 떠올리는 여유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번개문은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문은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우레는 만물을 길러주는 요소인 데다 그 형상이 연속외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나타낸다. 연속된 무늬는 그 자체로 무한 영구와 결실을 의미한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