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특별전
활용문양 정보
회암사지 4단지 문지 일대에서는 16종 939점에 달하는 대량의 사천왕 소조장식품이 출토되었다. 소조장식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문양 역시 연화문 ? 화염문 ? 범자문 ? 금강저문 ? 용문 ? 운문 ? 여지문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소조품에 색을 칠하고 금을 입혔던 흔적도 확인되어 당시 화려했던 회암사 사천왕상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유물은 여지문형 소조품으로 여지는 돌기가 있는 둥그스름한 형태로, 남방에서 온 진귀한 과일로 여겨진다. 열매의 형태를 나타내는 한자 圓이 으뜸을 뜻하는 한자 元과 음이 같고, 여와 이로울 리의 중국 발음이 비슷하여 가각 으뜸과 총명함을 뜻하는 길상문양으로서 즐겨썼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