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형태별문양

형태별문양

복자문(76743) 크게보기
복자문(76743)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문자문/복자문
국적/시대
한국-19세기
원천유물명
각띠
문양설명
복(福)자문은 길상문자 중 하나로 복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가장 보람되고 알찬 삶을 사는 것을 오복(五福)을 고루 갖추었다고 하는데 이 오복에 대해서는『상서(常書)』의「홍범(洪範)」편에, ‘복이란 첫째가 수(壽:오래 삶), 둘째가 부(富:재산이 많음), 셋째가 강녕(康寧:건강하고 평안함), 넷째가 유호덕(攸好德:인격을 갖춘 삶), 다섯째가 고종명(考終命:천명을 다함)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들은 이러한 삶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그 바람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문자를 문양으로 도안하여 생활주변의 모든 기물에 구체화하여 베풀었던 것이다. 복자문은 건축을 비롯해 생활가구, 공예품 등 다양한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