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별문양
문양설명
산스크리트, 즉 범문으로 이러한 글자 역시 옴(제천) 마(아수라) 니(인간) 반(축성) 메(아귀) 홈(지옥)의 육자 대명왕의 진언(眞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불교가 번성하던 고려 때에는 임금의 옥좌 위 천장에도 이 글자가 새겨졌다고 하며 고려 범종이나 금동향로 등에 금은상감으로 새겨진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탑이나 부도의 석조 유물에도 범자를 표현하였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