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형태별문양

형태별문양

구름문(10068) 크게보기
구름문(10068)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자연산수문/구름문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청자상감국화문완
문양설명
구름문(雲文)은 옛 사람들이 천신이나 신령들이 부리는 탈것일 뿐만 아니라, 만물을 자라게 하는 비의 근원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상서로운 구름무늬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장수와 길상을 상징했다. 구름이 지닌 상징성은 색채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는데, ‘청운의 뜻’, ‘백운의 역마루’등의 표현에서 보듯이 푸른색은 희망을, 흰색은 미래나 세속으로부터 초월함을 상징하기도 한다. 붉은 구름은 재난을, 검은 구름은 흉변을, 누런 구름은 풍요와 번영을 상징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