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문양

연덩굴문(2199)
- 문양명칭
- 연덩굴문
- 문양구분
- 개별문양(2D)
- 국적/시대
- 한국/현대
- 원천유물명
- 창경궁 문정전 닫집
- 소장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원천유물 재질
- 나무
디자인 요소
연꽃과 덩굴을 함께 표현하였다. 연꽃 아래로 고사리처럼 둥글게 말린 형태의 연덩굴을 표현하고 이를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정연한 인상을 준다. 아래로 늘어지게 표현하여 포도송이처럼 탐스러운 느낌을 준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가전류>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청소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화장품류, 가전제품류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화장품류, 가전제품류
디자인 방향성
연꽃과 덩굴이라는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물을 소재로 구상적 패턴을 만들었다. 다양한 형태로 패턴 내부를 채우고 있지만 꼬임이 강한 덩굴의 특징이나 화려한 이미지의 꽃의 특징을 잃지 않는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