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디자인문양

디자인문양

연덩굴문(7294) 크게보기
연덩굴문(7294)
문양명칭
연덩굴문
문양구분
원시문양(2D)
국적/시대
한국/현대
원천유물명
경희궁지 자정전 화반
소장기관
한국문화정보원
원천유물 재질
나무
디자인 요소
덩굴은 두 갈래로 가운데에서 X자로 교차하여 위를 향해 뻗어 올라가는 모습이다. 덩굴은 뻗어나가며 여러 갈래로 나뉘고, 그 끝은 원을 그리며 안쪽으로 둥글게 말린다. 덩굴이 갈라진 부분에 삼각형의 연꽃이 돋아있다. X자로 교차하는 덩굴 가운데 활짝 핀 한 송이 연꽃이 자리한다. 꽃받침 위로 핀 꽃잎은 겹꽃이며, 위를 향해 피어있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가전류>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청소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건축/실내디자인>실내/인테리어디자인>주거용 실내 디자인
디자인 방향성
여러 겹으로 뻗어나가는 덩굴의 형태를 양 옆에 두 줄의 덩굴로 간결하게 도식화 한 모습이다. 덩굴은 S자를 그리며 위아래로 뻗어나가며 좌우대칭이다. 덩굴 안쪽 면에 네 송이의 활짝 핀 연꽃을 배치했다. 꽃잎은 끝이 뾰족한 씨앗모양으로 모두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형태이다. 덩굴은 여러 겹이며 끝이 원을 그리며 안쪽으로 둥글게 말리고, 위아래 끝 부분은 여러 갈래의 작은 줄기로 나뉜다. 끊임없이 뻗어나가는 덩굴 줄기, 활짝 핀 연꽃으로 문양이 의미하는 장수와 번영의 상징성이 돋보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