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문양

연덩굴문(8778)
- 문양명칭
- 연덩굴문
- 문양구분
- 원시문양(2D)
- 국적/시대
- 한국/대한제국
- 원천유물명
- 덕수궁 함녕전 문인방
- 소장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원천유물 재질
- 나무
디자인 요소
덕수궁 함녕전 문인방에 보이는 연덩굴문을 활용한 디자인이다. 덩굴은 하나의 줄기에서 시작해 두 갈래로 갈라져있다. 덩굴은 두 줄의 선으로 나타냈으며 끝자락은 뭉툭한 편이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가전류>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청소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생활용품류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생활용품류
디자인 방향성
덩굴을 중심으로 이를 돋보이게 디자인하였다. 덩굴은 검은색 바탕 위에 흰색 선을 사용해 나타냈다. 덩굴은 유려한 흐름을 보이며 자연스럽게 말려있다. 끝자락은 쉼표처럼 보인다. 덩굴의 줄기는 가볍게 보이며 장수를 상징하는 의미에 맞게 장식성을 더하였다. 덩굴을 활용한 디자인은 가전제품이나 생활용품, 섬유류 등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