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문양

창덕궁 희정당 착고판(106)
- 문양명칭
- 창덕궁 희정당 착고판
- 문양구분
- 원시문양(2D)
- 국적/시대
- 한국/근대
- 원천유물명
- 창덕궁 희정당 착고판
- 소장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원천유물 재질
- 나무
디자인 요소
연꽃은 덩굴과 함께 장식문양으로 사용하였는데 아름다움과 함께 생명, 여유로움 등을 의미한다. 연꽃과 덩굴무늬의 어울림을 중심으로 디자인한 모습이다. 연꽃은 구슬과 같은 작은 동그라미로 표현하였다. 또 다른 연꽃은 덩굴 속에서 피어나서 마치 구름과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덩굴은 연꽃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가전류>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청소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 포장 디자인>화장품, 가전제품류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다리미, 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 포장 디자인>화장품, 가전제품류
디자인 방향성
연꽃무늬는 불교와 관련 있는 유물부터 다양한 종류의 물품에 장식문양으로 활용되고 있다. 연꽃이 피기 전인 꽃봉오리의 형태부터 꽃이 피고, 지고 난 후 씨앗이 맺힌 모습까지 단독으로 표현되거나 다른 종류의 문양과 어울려 다양한 제품에 연출이 가능하다. 연꽃이 갖는 아름다움과 풍성함을 표현하기 위해 덩굴과 함께 표현하여 서로의 어울림이 돋보인다. 연꽃무늬는 인테리어나 의류, 귀금속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