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문양

창덕궁 금천교 난간(96)
- 문양명칭
- 창덕궁 금천교 난간
- 문양구분
- 원시문양(2D)
- 국적/시대
- 한국/조선
- 원천유물명
- 창덕궁 금천교 난간
- 소장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원천유물 재질
- 돌
디자인 요소
해태는 정의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로 흉배나 노리개 등의 장식문양으로 사용되었다. 해태가 이빨을 드러내고 웅크려 앉아있는 모습을 중심으로 디자인하였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귀금속·보석류>브로치
제품디자인>사무기기 및 문구류>복합기, 빔프로젝터, 스캐너
패션디자인>의류 및 패션잡화>스포츠 의류, 벨트, 신발
환경디자인>환경조형 및 시설물>택시 버스정류장, 가로사인시스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시각디자인>CI, BI, 정부 및 지자체 상징물 및 서식
제품디자인>사무기기 및 문구류>복합기, 빔프로젝터, 스캐너
패션디자인>의류 및 패션잡화>스포츠 의류, 벨트, 신발
환경디자인>환경조형 및 시설물>택시 버스정류장, 가로사인시스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시각디자인>CI, BI, 정부 및 지자체 상징물 및 서식
디자인 방향성
해태가 이빨을 드러내고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정형화한 디자인이다. 얼굴의 표현이나 꼬리, 발 등의 세부표현이 돋보인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