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문양

덩굴문암막새(3829)
- 문양명칭
- 덩굴문암막새
- 문양구분
- 원시문양(2D)
- 국적/시대
- 한국/시대미상
- 원천유물명
- 덩굴문암막새
- 소장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원천유물 재질
- 토제
디자인 요소
옆으로 넓은 U자형을 그리며 뻗어나가는 덩굴이다. 덩굴 줄기는 뻗어나가면서 여러 갈래로 나뉘며 나뉜 부분에는 일자형의 매듭이 표현되었다. 나뉜 덩굴 끝 부분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둥글게 말린다. 덩굴이 양 갈래로 나뉜 부분에는 새발 모양의 꽃이 달려 있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가전류>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청소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카메라, 다리미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화장품류, 가전제품류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그릇, 액자, 카메라, 다리미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우산,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화장품류, 가전제품류
디자인 방향성
여러 갈래로 나뉘며 뻗어나가는 덩굴은 굵기가 일정하게 표현되어 안정감을 준다. 갈라진 덩굴의 끝 부분은 원을 그리며 좌우로 둥글게 말려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뾰족한 덩굴 끝 부분과 조화를 이룬다. 끊임없이 뻗어나가는 덩굴의 모습이 장수의 상징성을 돋보이도록 해준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