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디자인문양

디자인문양

연꽃문(9418) 크게보기
연꽃문(9418)
문양명칭
연꽃문
문양구분
원시문양(2D)
국적/시대
한국/통일신라
원천유물명
연화문수막새
소장기관
한국문화정보원
원천유물 재질
토제/와질
디자인 요소
중앙에는 세 개의 원을 둘러 꽃심을 표현했고 꽃심을 따라 작은 씨앗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아간다. 2단으로 배치된 꽃잎의 사이에는 원을 둘러 경계를 명확하게 해주었다. 1단의 꽃잎은 길쭉한 하트모양으로 끝부분이 양 갈래로 갈라진 모습이다. 2단의 꽃잎은 한쪽 끝이 뾰족한 물방울 모양이며 꽃잎과 꽃잎 사이가 벌어진 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일 바깥쪽 테두리의 안쪽에는 나란하게 붙은 세 개의 원형을 여섯 군대 배치했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귀금속·보석류>시계, 팔찌, 귀걸이, 브로치
패션디자인>의류 및 패션잡화>여성복·남성복 디자인, 언더웨어, 지갑·핸드백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포장디자인>화장품류
환경디자인>공공 환경, 조경물>도시 기반시설물과 조경물
디자인 방향성
2단으로 이루어진 꽃잎이 원형으로 돌아가는 꽃문양이다. 외곽선의 위아래부분을 톱니모양으로 변형시키고 좌우에는 작은 잎사귀를 한 장씩 넣어 장식했다. 꽃의 중앙에는 둥근 꽃심이 있으며 안쪽에는 작은 점들을 지그재그 구도로 배열했다. 꽃심의 바깥쪽에는 길쭉한 하트 모양의 꽃잎이 빼곡하게 돌아가고 꽃잎의 바깥쪽에 원을 둘러 두 단으로 이루어진 꽃잎의 경계를 구분 지었다. 2단에 있는 꽃잎은 물방울 모양이며 꽃잎의 좌우와 안쪽에 손톱모양의 곡선을 넣어 풍성한 느낌을 주었다. 바깥쪽으로 갈수록 꽃을 이루고 있는 요소의 크기가 커져 문양이 확장되는 효과를 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