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문양

인동문(8634)
- 문양명칭
- 인동문
- 문양구분
- 원시문양(2D)
- 국적/시대
- 한국/통일신라
- 원천유물명
- 인동문암막새
- 소장기관
- 한국문화정보원
- 원천유물 재질
- 토제/와질
디자인 요소
병렬로 배치된 인동문을 디자인하였다. 아랫부분에만 구슬이음문을 두르고 그 위에 간략한 덩굴을 나타냈다. 덩굴은 좌우로 줄기가 갈라지면서 그 끝이 이어져 둥글게 말린 형상이며 인동문 사이의 윗 공간에만 구슬문을 더했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가전류>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제품디자인>귀금속·보석류>목걸이, 팔찌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스카프,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커뮤니케이션디자인>디지털콘텐츠>S/W, 영상물 등
제품디자인>귀금속·보석류>목걸이, 팔찌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악기
패션디자인>섬유류>스카프, 손수건, 침구류, 직물(원단)
커뮤니케이션디자인>디지털콘텐츠>S/W, 영상물 등
디자인 방향성
인동덩굴문을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생동감과 풍성함을 느끼게 해 준다. ‘∽’자 형태의 덩굴 안에 크고 작은 인동꽃과 잎사귀가 표현되어 풍성함을 강조하여 표현하고 있다. 덩굴이 가지고 있는 자유로운 이미지를 살렸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