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디자인문양

디자인문양

안정사 종각 운판(903) 크게보기
안정사 종각 운판(903)
문양명칭
안정사 종각 운판
문양구분
원시문양(2D)
국적/시대
한국/조선후기
원천유물명
-
소장기관
한국문화정보원
원천유물 재질
-
디자인 요소
연꽃은 꽃이 피기 전인 꽃봉오리부터 만개한 이후 씨앗이 맺힌 형태까지 다양한 모습을 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종각의 연판에 표현된 이 연꽃은 활짝 핀 모습으로 꽃잎이 서로 잇닿아 둥근 형태로 펼쳐져 있으며 각각의 꽃잎은 끝으로 갈수록 살짝 넓어지는 모습이다. 꽃잎의 끝부분은 둥근 곡선을 갖추고 있어 부드럽게 보이고 사이에 작은 잎을 더하여 앙증맞게 나타내었다. 하나의 연꽃이지만 활짝 핀 연꽃의 풍성한 느낌을 살려 디자인하여 연꽃문양의 여유로움과 생명력을 느끼게 해준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생활용품류>인테리어 소품
제품디자인>귀금속 보석류>시계, 팔찌, 귀걸이, 브로치
제품디자인>가구류>식탁
패션디자인>의류 및 패션잡화>여성복 남성복 디자인, 언더웨어, 지갑 핸드백
포장/패키지디자인>제품 포장 디자인>화장품
디자인 방향성
연꽃무늬는 불교와 관련 있는 유물부터 다양한 종류의 물건에 장식문양으로 활용되고 있다. 연꽃이 피기 전인 꽃봉오리의 형태부터 꽃이 피고, 지고 난 후 씨앗이 맺힌 모습까지 단독으로 표현되거나 다른 종류의 문양과 어울려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연꽃이 갖는 아름다움과 풍성함을 표현하기 위해 유려한 선의 사용을 중심으로 여유로움이나 생명력을 느낄 수 있게 꽃잎을 중심으로 간결하게 디자인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