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명문암막새(3000708) 크게보기 3D 뷰어
명문암막새(3000708)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토제/와질
용도
건축부재
소장처
가톨릭관동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암막새는 가옥의 지붕을 덮는 옥개용(屋蓋用)의 건축 부재를 말한다. 기와는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模骨) 및 와범(瓦範) 등의 제작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우리나라에서 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고 와당이 언제부터 나타났는지는 정확히 밝힐 수 없으나 기와가 들어온 시기는 한사군(漢四郡) 설치 전후로 추정된다. 그러나 한국적인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조적에 맞게 구조가 변형되어, 이른바 한국적인 양식으로 발전을 보게 된 것은 3세기말 이후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삼국시대 건물 자리에서 비로소 와당이 발견되고 있는데 고구려의 장군총, 신라의 황룡사지, 백제의 미륵사지 등에서는 각 국의 특징이 있는 와당이 발견되고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궁궐 및 사찰의 건축 조영을 담당하는 관서(官暑)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제에는 나라에서 쓰는 기와만을 전담하는 와박사(瓦博士)의 직제(職制)가 있었고, 백제 위덕왕 35년(588)에는 일본에 와박사를 파견할 정도로 발전되었다. 신라에는 특별히 와당만을 제조하는 와기전(瓦器典)이란 마을이 있었으며, 중국 문헌인 『신당서(新唐書)』이 고구려전(高句麗傳)에는 「高句麗唯王室及府佛~瓦」라 하여 ‘고구려는 왕실과 관부 또는 불사(佛寺)에 기와를 사용하였다’라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기와는 지붕에 씌워 눈과 빗물의 침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재목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암막새는 암키와로 형성된 기왓골의 끝에 막새부(드림새)를 접합시킨 기화를 말한다. 삼국통일 이후 유행하였으며,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그 시대적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덩굴문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보상화문(寶相華文)을 비롯한 각종 동식물 문양이 새겨져 있다. 문양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당초문 등의 덩굴 문양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명문 암막새는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굴산사지에서 출토되었다.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암막새기와로 하단부가 밑으로 늘어진 역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막새면에 종선(從線)을 그어 여러 면으로 구획한 후 '천계오년정삼월(天啓五年正三月)' 이라는 제작 시기와 불분명한 시주자의 인명(人名) 등이 표기되어 있다.
활용설명
일상의 공간에 색다른 분위기를 만들어 줄 수 있게끔 암막새의 형태를 재현한 상품을 개발하였다. 암막새에 보이는 명문을 그대로 표현해 의미를 더하고 암막새를 직접 지붕에 얹을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하게 나타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