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문양개(3000693) 크게보기 3D 뷰어
문양개(3000693)
국적/시대
한국/가야
재질
토제/경질
용도
부장품
소장처
경상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여러 가지 기하학적 문양이 시문 되어 있는 뚜껑이다. 문양 개는 주로 고분 부장품으로 출토되며, 실생활에 사용되었다기보다는 부장 용이나 의례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후기 와질토기의 대부호의 뚜껑에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는 것으로 4세기대의 도질토기 단계에서 약간씩의 형태를 달리하면서 지역마다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뚜껑의 꼭지는 없으며 뚜껑의 중심부에 원공을 뚫은 형도 있다. 뚜껑 상면에 동심원, 거치문 등과 같은 기하학적인 문양이 시문 되어 있다. 특히 정교한 문양을 기하학적으로 배치한 뚜껑은 함안 지역과 의령지역의 여러 유적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된 바 없다. 따라서 문양 개는 통형 고배나 파수부완, 장식적인 노형 기대 등과 함께 고식도질토기 단계의 함안식 토기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기형이라고 생각된다. 본 유물은 담황갈색을 띠는 문양개로서 드림과 신부(身部) 일부가 결실되었다. 신부의 중앙에는 둥근 구멍이 뚫려 있으며 그 아래로는 조밀한 침선 대가 4단으로 돌려지고 그 사이에는 거치문(鋸齒文)이 정연하게 시문되어 있다. 드림부는 회전 물 손질, 신부는 물 손질로 표면을 다듬었다.
활용설명
여러 가지 소품을 활용하여 단조로운 일상의 분위기를 바꾸어줄 수 있다. 뚜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생활용품으로 개발하였다. 뚜껑 자체의 형태미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문양을 잘 살리도록 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뚜껑은 요즘에도 사용하는 용기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식기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장식용품, 생활소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