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유개대부직구호(3000679) 크게보기 3D 뷰어
유개대부직구호(3000679)
국적/시대
한국/가야
재질
토제/경질
용도
부장품, 제기
소장처
경상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대부직구호는 음식을 담아두거나 운반하는데 쓰이는 그릇으로 바닥에 굽다리가 달리고 아가리가 직립한 항아리를 일컫는다. 삼한시대 항아리는 바닥이 둥글거나 편평한 것들이었으며 회흑색과 회색의 와질계통 혹은 적갈색의 연질계통이다. 토기를 만들 때 처음으로 회전대를 사용하였고 밀폐요를 채용하는 등 상당한 기술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900~950℃의 고온에서 토기를 구웠으며, 바탕흙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빼내고 토기의 벽을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토기 안에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방망이에 평행선을 음각하거나 또는 가는 끈을 감아서 항아리의 표면을 두드렸기 때문에 격자무늬, 새끼줄무늬, 평행선무늬가 표현되었다. 삼국시대에 이르면 목이 긴 것, 다리가 달린 것, 크기가 큰 것, 중간 것, 작은 것 등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어깨 부분에 물결무늬, 삼각무늬 등의 기하학무늬나 토우가 부착된 장식항아리 등이 제작되었다. 이 대부직구호는 경남 합천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되었으며 뚜껑까지 온전하게 남아있다. 뚜껑에는 침선이 조밀하게 돌려졌는데 중위에는 침선을 지우면서 넓은 띠를 둘렀다. 또한 꼭지를 중심으로 십자모양의 종침선(縱沈線)이 새겨져 있다. 드림턱은 작은 돌대로 만들었으며 드림은 안으로 기울다가 가볍게 반전했고 끝은 오목한 모양으로 처리되었다. 꼭지는 단추형이며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갔다.
활용설명
뚜껑이 있는 대부직구호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해 생활소품을 개발하였다. 침선을 제외하고 특별한 장식문양이 없으므로 항아리 자체의 형태미에 집중한 모습이다. 둥근 형태의 몸통과 바깥으로 넓게 바라진 굽다리의 형태를 그대로 반영하였다. 항아리의 형상을 통해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항아리는 지금도 사용하는 물건이며 소품으로 활용해 토기 본연의 원시적인 미감을 맛볼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