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상감환대도(3000673) 크게보기 3D 뷰어
상감환대도(3000673)
국적/시대
한국/가야
재질
금속/철제
용도
부장품, 음식기
소장처
경상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환두대도는 중국 한대에 기원을 둔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3세기 후반 이후 중요한 실용의 전쟁무기로 자리 잡음과 함께 신분을 상징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삼한시대에는 100㎝ 내외의 장대형 환두대도와 60㎝ 내외의 중형 환두대도가 조합되어 출토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도를 다수 부장함으로 높은 신분임을 상징하는 수단이 된다. 삼국시대에는 환두부 장식이 성행하는데 아무런 문양이 없는 것과 삼엽, 삼루, 용, 봉황, 용봉문 등이 장식된 것이 있다. 본 환두대도는 경상남도 합천군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되었다. 단봉문상감환두대도(單鳳文象嵌環頭大刀)로서 고리는 단면 반원형의 철테(직경 8㎝)를 이용하여 횡타원형으로 만들고 표면에 은실(銀絲)로 상감하였는데 문양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용문(龍文) 일 것으로 추정된다. 자루에는 상하에 장식을 감았는데, 자루 머리 부분의 장식은 얇은 금동판 위에 옻칠을 하고 은실로 용문을 새겨 넣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는 문양대를 만들고 파상문을 시문하였다. 자루 가장자리의 장식은 얇은 은판을 감아서 만들었는데 칼집 장식 속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칼집 장식은 얇은 금동판 위에 옻칠을 하고 은실로 봉황문(鳳凰紋)을 새겨 넣었으나 문양이 다소 조잡한 느낌을 주며, 양쪽 가장자리에는 문양대를 만들었으나 문양을 시문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두었다. 그런데 이 장식의 도신(刀身) 쪽 가운데에는 작은 긴 네모 모양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것의 용도는 알 수 없다. 도신과 자루, 환두부를 모두 일체로 만든 것처럼 보이지만 환두부만은 별도로 주조해서 결합했을 가능성이 높다. 결합부와 결합의 상태에 대해서는 자루 머리장식 때문에 잘 관찰되지 않는다. 신부(身部)에는 칼집의 목질, 자루에는 나무자루의 목질이 부분적으로 수착 되어 있으며, 자루에는 나무자루를 고정시키기 위해 2개의 둥근 머리 못이 박혀 있다.
활용설명
남자아이들이 좋아하는 전쟁놀이에 사용하는 무기 중에 하나로 장난감 칼을 꼽을 수 있다. 환두대도를 표본으로 문구나 완구를 제작해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에 대한 관심을 이끌 수 있다. 칼날의 날카로움을 그대로 반영하기보다는 끝부분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둥근 손잡이 부분과 몸체가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표현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