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깊은바리토기(3000607) 크게보기 3D 뷰어
깊은바리토기(3000607)
국적/시대
한국/신라
재질
토제/연질
용도
의례생활, 부장품
소장처
가톨릭관동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토기는 진흙으로 빚어서 유약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불에 구워 만든 그릇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토기는 신석기시대부터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항아리도 이때 생겨났으리라 짐작한다. 신석기시대에는 빗살 무늬 토기, 민무늬 토기, 덧띠 무늬 토기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토기로 나눈다. 고구려 토기는 대체로 띠고리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것이 많고 모두 편평한 바닥으로 되어 있다. 굽다리를 갖춘 기형은 등장하지 않는다. 백제 토기는 제작기술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릇의 표면을 두드려 벽을 만드는 수법으로 만든 후 환원 소성으로 제작한 것으로 크게 흑색마연토기, 회색연질 토기, 회청색 경질 토기, 적갈색 연질 토기의 4개 유형으로 나뉜다. 신라와 가야토기는 적갈색연질토기와 회청색 경질 토기로 나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토기는 몸체보다 굽다리를 짧게 만들었으며 돋을 무늬의 띠를 굽다리에 돌리거나 혹은 굽다리에 구멍을 마주 보고 두 개 또는 네 개를 뚫었다. 목이 긴 단지는 그릇받침을 별도로 만들지 않고 직접 붙여서 제작했으며 문양도 동그라미 혹은 인화문을 시문하였다. 또한 불교의 영향으로 뼈단지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색은 녹색, 황록색 또는 갈색을 띤다. 이 토기는 동해 구호동 고분에서 출토된 옅은 적갈색을 띠는 토기이다. 깊은 바리모양의 토기로 형태상에 있어 선사시대(청동기~철기시대)의 발형토기(鉢形土器)와 유사하다. 몸통의 가장 윗부분인 아가리 밑에 끈을 맬 수 있도록 둥근 구멍이 양쪽으로 뚫려 있으며 바닥은 편평하다. 의례행위(儀禮行爲)에 관련된 유물로 추정된다.
활용설명
바리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생활소품으로 개발하였다. 특별한 문양이 없기 때문에 바리의 외관, 편평한 바닥 등의 형태미를 잘 살리도록 하였다. 바리는 지금도 주방에서 많이 활용되는 형태의 그릇으로 식기의 전통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