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분청자인화문병(3000573)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자인화문병(3000573)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도자기/분청
용도
식기, 병
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분청사기는 청자와 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바르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인화문이란 무늬가 새겨진 도장을 표면에 눌러 찍어 문양을 내는 것을 말한다. 인화기법은 고려 말의 상감청자에서 부분적으로 등장하여 분청사기에서 활짝 꽃피었다. 도장을 찍어 패인 부분에 주로 백토를 넣는 것이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상감기법의 범주에 속하지만 일정한 도장을 반복해서 찍은 것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는 전혀 다르다. 인화문 분청사기는 조선 세조연간에 절정을 맞이하며 그 소재로는 국화문이 가장 애용되었다. 이 유물은 목이 가늘고 입술이 밖으로 휘었으며 회청색을 띤 작은 병이다. 몸통에 두 줄의 세로선을 사용해 백상감으로 4면을 구획하고 그 안에 빗방울문을 빼곡하게 새겨 넣었다. 몸통의 하단에는 아무런 문양이 없다. 유색을 맑고 얇은 편이며 그릇 하단에는 시유되지 않았다.
활용설명
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몸통에 새겨진 빗방울문을 중심으로 병의 형태에 집중한 모습이다. 요즘에도 주방에서는 병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므로 친숙한 편이며 분청사기의 느낌을 잘 살려 소박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도록 만들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